공무원 국어 필수 현대시 "3.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섭 대일 땅이 있었더면 - 김소월 - " 해석
https://www.instagram.com/fkslqk94/
인스타 DM 질문하기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섭 대일 땅이 있었더면>-김소월 -
나는 꿈꾸었노라, 동무들과 내가 가지런히
벌가의 하루 일을 다 마치고
석양에 마을로 돌아오는 꿈을,
즐거이, 꿈 가운데.
그러나 집 잃은 내 몸이여,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섭 대일 땅이 있었더면!
이처럼 떠돌으랴, 아침에 저물손에
새라 새로운 탄식을 얻으면서.
동이랴, 남북이랴,
내 몸은 떠나가니, 볼지어다.
희망의 반짝임은, 별빛이 아득함은,
물결뿐 떠올라라, 가슴에 팔다리에.
그러나 어쩌면 황송한 이심정을!
날로 나날이 내 앞에는
자춧 가능은 길이 이어가라, 나는 나아가리라.
한 걸음, 또 한 걸음, 보이는 산비탈엔
온 새벽 동무들, 저 저 혼자......
산경을 김매이는.
해설
- 이 시는 1926년 지은 시로 일제 강정기에 우리민족이 지니고 있던 심정의 일면을 노래한 것으로 국토를 빼아긴 상황 속에서의 절실한 소망 표현
1연(과거)
- 1연 주제 : 과거의 행복했던 삶
2연, 3연(현재)
- 집 잃은 내 몸이여 : 조국을 잃음
- 보섭 대일 땅이 : 농사 지은 땅
- 2,3연 주제 : 고통과 절망적인 현실
4연(미래)
- 날로 나날이 내 앞에는 자춧 가능은 길이 이어가라, 나는 나아가리라. : 길 = " 희망 " 를 의미 하며 절망적인 상황에서 미래 지향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음. 그리고 " 도치법 " 을 사용 하였다. ---> 나는 나아가리라, 날로 나날이 내앞에는 자춧 가능은 길이 이어가라
- 조국 광복의 희망
핵심정리
- 성격 : 저항적, 의지적, 참여적
- 어조 : 남성적 어조
- 주제 : 빼앗긴 국토와 미래지향적인 현실 극복 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