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구조적 가족 치료 1
주요 개념
경계선
경계선의 개념
개인, 하위체계, 가족의 통합성을 보호하고 강화하는 정서적인 벽을 기술하는 구조적 가족치료의 개념임
경계선은 가족원 개인과 하위체계를 둘러싸는 눈에 보이지는 않는 테두리로서 가족 성원 개인과 하위체계 안팎을 구분하는 선이며, 가족 성원 사이에 허용되는 접촉의 양과 종류를 규정함
경계선은 누가 어떻게 참여하는가를 규정하는 규칙으로써 경계선을 통해 개인 혹은 하위체계 간의 친밀함의 정도, 정보의 상호교환 정도, 문제 해결을 위해 상호 교류하는 정도를 파악할 수 있음
경계선의 유형
하위체계 간의 상호 역동은 이 경계선이 명확한지, 밀착되어 있는지, 분리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산만한(한) 경계선, 명료한 경계선, 경직된 경계선으로 구별됨
구분 | 내용 |
명료한 경계선 - 안정된 관계 | - 명료한 경계선은 확고하지만 융통성이 있다. - 가족 성원들은 서로를 지원하고 보살펴 주지만, 동시에 어느 정도의 자율성도 허용한다. -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은 지원과 보살핌과 관여라는 한 편과, 실험하고 개별화하며 스스로 고유한 인간이 되기 위한 자유라는 다른 한 편 사이에 균형을 이룬 경우를 이상적으로 본다. |
경직된 경계선 - 유리된 관계(분리된 가족) | - 경직된 경계선은 ‘나는 나, 너는 너’ 식의 지나치게 독립적 태도로 서로를 대하며, 이런 가족은 가족 성원이 서로 거리감과 소외감을 가지게 된다. - 긍정적 측면에서 보면 자율성과 독립성을 길러줄 수 있지만 가족에 대한 소속감이 부족하고 도움을 주고받는 능력이 부족하며, 가족 성원 간 의사소통이 활발하지 못하고 가족의 보호 기능을 수행하기 힘들다. - 경직된 경계선으로 인해 지나치게 엄격하고 바깥 하위체계들과의 접촉을 거의 허용하지 않음으로 유리된 개인이나 하위체계들은 독립적이긴 하지만 고립되어 있다. |
산만한(모호한) 경계선 - 속박된 관계(밀착된 가족) |
- 모호한 경계선을 주로 하는 가족은 가족체계에 참가하는 것에 대한 규칙이 애매하기 때문에 가족 구성원은 모든 문제에 관해서 서로 지나치게 얽혀서 필요 이상으로 관여하게 된다. - 모호한 경계선은 가족 성원이 마치 ‘너의 일은 모두 나의 일’이라는 태도를 가지므로 가족 성원 개인의 정체성 구분이 모호해지고, 가족 성원 간 거리감이 없고 강한 소속감 때문에 자율성이 방해받는다. - 속박된 관계는 매우 높은 수준의 상호지지를 보이지만 개인의 독립과 자율에 손상을 입는다. |
LIST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구조적 가족 치료 1 : 주요 개념 ( 권력 ) ] (0) | 2023.04.18 |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구조적 가족 치료 1 : 주요 개념 ( 제휴 ) ] (0) | 2023.04.18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구조적 가족 치료 1 : 주요 개념 ( 하위 체계 ) ] (0) | 2023.04.12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구조적 가족 치료 1 : 주요 개념 ( 가족 구조 ) (0) | 2023.04.12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구조적 가족 치료 1 : 주요 인물 ] (0) | 2023.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