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구조적 가족 치료 2
치료 목표
구조적 가족치료 접근에서 본 문제가족의 특성
밀착된 가족 : 가족체계와 외부와의 경계선이 지나치게 유동적이다.
분리된 가족 : 가족체계와 외부와의 경계선이 지나치게 경직되어 있다.
가족 안에 각 하위체계 간의 경계선이 잘못되어 있다.
위계질서가 잘못되어 부모가 동등하거나 비슷한 권력을 가지지 못한다.
바람직하지 못한 역할이 발견된다.
가족 외부의 힘이 지나치게 가정생활에 스트레스를 준다.
치료목표
주목표
- 가족의 문제는 역기능적 가족구조에 의해 지속된다고 보므로 치료는 가족구조를 변형시켜 가족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 치료목표는 가족구조의 변화, 즉 가족의 재구조화임 )
- 가족 재구조화의 결과로 다시 문제행동이 나타날 가능성은 줄어들고 전체로서의 가족이 그들의 성장잠재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은 커지게 된다.
세부 목표
- 명확하면서도 융통성 있는 경계를 만드는 것 : 속박된 가족은 개인이나 하위체계의 분화가 필요하고 유리된 가족은 경계선을 유연하게 만들도록 한다.
- 효과적인 위계질서 창조 : 부모는 자녀의 동등한 위치보다 권위를 행사할 수 있어야 하고, 부모는 응집력 있는 하위체계 역할을 해야 한다.
- 가족이 좀 더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대안을 발견하고 동원하는 것 : 가족체계의 실상에 맞는 상호 교류 규칙을 대체하여 재구조화하며, 가족 성원이 고정된 역할과 기능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LIST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구조적 가족 치료 2 : 치료 기법 : 가족과의 교류 기법 ( 근거, 교류의 창조 ) ] (0) | 2023.04.18 |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구조적 가족 치료 2 : 치료 과정 ] (0) | 2023.04.18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구조적 가족 치료 1 : 주요 개념 ( 구조적 가족 치료의 원리 ) ] (0) | 2023.04.18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구조적 가족 치료 1 : 주요 개념 ( 적응 ) ] (0) | 2023.04.18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구조적 가족 치료 1 : 주요 개념 ( 권력 ) ] (0) | 2023.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