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전략적 가족 치료 1
치료 목표
헤일리의 전략적 구조주의 모델의 치료 목표
역기능적인 가족 위계구조로 인해 문제 해결 시도가 반복적인 연쇄 과정 고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증상을 유지, 악화시킨다고 하여, 역기능적인 연쇄 과정을 촉진시키는 가족의 위계와 경계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 문제 해결에 중요하다고 본다.
궁극적인 목표는 가족을 구조적으로 재조직하는 것으로, 가족의 위계질서나 경계선의 재구조화를 강조
치료는 문제를 만들어 낸 구조적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계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마다네스는 문제 중심적이거나 구조적인 목표를 넘어서서 균형, 조화, 사랑과 같은 성장 지향적인 영역을 포함시킴으로써, 삶 속에 조화와 평형을 주는 것을 치료목표로 설정한다.
밀란의 체계적 모델의 치료 목표
가족 상호 관계에서 힘겨루기를 위해 행해지는 ‘가족게임’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역기능적 가족은 서로 힘을 얻기 위해 가족게임을 한다고 생각한다.
- 증상은 게임을 의미하므로 가족게임을 중단시킬 수 있는 강력한 기법을 찾는데 초점을 맞춘다.
초기 밀란 모델은 게임 규칙의 변화에 관심을 갖고 내담자의 행동 변화를 중시한다.
- 반면 후기 밀란 모델은 가족의 고착된 그릇된 신념체계인 ‘인식론적 오류’를 변화시키는 것에 관심을 가져서 순환적 질문을 통해 새로운 신념체계로 유도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LIST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전략적 가족 치료 2 : 치료 과정 ( MRI 상호작용 모델 ) ] (0) | 2023.04.25 |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전략적 가족 치료 2 : 전략적 가족 치료의 가정 ] (0) | 2023.04.25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전략적 가족 치료 1 : 치료 목표 ( MRI 상호작용 모델의 치료 목표 ) ] (0) | 2023.04.22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전략적 가족 치료 1 : 치료 목표 ( 개요 ) ] (0) | 2023.04.22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전략적 가족 치료 1 : 주요 개념 ( 밀란(Milan)의 체계적 모델 ) ] (0) | 2023.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