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통합적 가족 치료
구조 · 경험적 가족 치료
치료목표와 과정
치료목표
- 가족구조를 위계적으로 바르게 재구조화하고, 가족원을 각자 자율적이고 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일치적인 존재들로 세운다.
치료사정
구분 | 내용 |
가족문제 사정 후 가족구조 확인하기 | - 가족이 가져온 문제가 무엇이고 왜 상담소를 찾게 되었는지, 문제가 발생한지는 얼마나 되었는지, 어떤 계기로 문제가 악화되었는지, 가족의 구조와 권력은 어떠한지 등을 통해 문제를 확인한다. - 가족이 처한 가족생활주기를 확인하여 주 호소문제로 겪고 있는 스트레스를 이해한다. |
목표 설정의 중요성 | - 가족원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진술하여 함께 치료목표를 세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이다. - 문제에 대한 이야기가 치료목표로 전환되며, 그동안 시도된 방법과 앞으로 어떻게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해 기능적이고 효과적인 방법들을 스스로 찾아갈 수 있도록 사정한다. |
의사소통 및 피드백 등 가족의 상호작용 패턴 발견하기 | - 가족원의 반응 방식을 살펴본다. - 문제 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들의 역효과적인 의사소통 흐름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러한 의사소통 패턴은 가족 간의 오래 지속된 관계 패턴으로, 관계 간에 악순환을 자아내며 불화를 지속시키고 강화하는 부정적이며 파괴적인 역순환의 회로를 만들어낸다. |
가족과 개인의 구조적인 역동을 관찰하고 파악하기 | - 구조적인 문제는 가족을 바르게 세워가는 데 가장 초석이 된다. - 치료사가 가족의 구조를 잘 관찰해야 하며, 삼각관계의 열쇠가 되는 부모와 자녀 사이의 제휴(연합, 동맹), 경계선들을 세대 간에 어떻게 주고받고 유지하는지에 대한 흐름을 볼 수 있어야 한다. |
경험적인 내적 구조 파악 - 과거 감정 및 신념층, 핵심 욕구 등을 사정하기 | - 가족을 구성하고 있는 각 개인들은 각자의 내면화된 심리적 현상들이 있다. - 개인 심리 안에 작용하고 있는 잠재된 요인들이라고 할 수 있는 무의식적인 경험과 욕구 및 기대들을 심도 있게 다루어야 한다. |
부모의 원가족을 사정하여 과거의 영향 파악하기 | - 무의식적인 신념체계는 내담자 원가족의 중요한 관계와 결부되어 있으며, 분노, 의사소통, 재정, 결혼생활, 대인관계, 성, 사회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신념들은 대체적으로 어린 시절 경험으로부터 습득된다. - 치료사는 내담자 가족의 가족규칙, 가족 기대들의 영향과 그와 관련된 오래된 가족사건 및 상처들을 파악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가족원의 부정적이고 파괴적인 행동 패턴을 유추해야 한다. |
치료 과정
구분 | 내용 |
시작 단계 - 친화 단계 | - 가족과의 만남, 문제 사정, 문제의 재구성, 변화의 목표 설정, 가족의 체계 및 맥락 안에서 돌출적인 행동을 살펴보는 체계적 조망과 견해가 요구된다. - 분명하고 구체적이며 행동적인 표현들로 문제를 정의해야 한다. |
중간 단계 - 재구성 단계 | - 문제 해결을 위한 과업, 계속적인 사정, 의사소통 문제들, 구조적인 문제들과 해석, 가족의 신념 및 가족규칙들에 대한 도전과 변경, 원가족 문제들에 대한 과제, 개인적인 발달상의 미해결 문제를 다루는 과업이 진행된다. - 내담자 가족은 익숙한 상황이나 습관으로 다시 돌아가려는 힘에 의해 치료사와 대치 상황이 되기도 하는데, 이때 치료사는 여러 치료 기법들을 가지고 이들의 저항이 선회하도록 도울 수 있어야 한다. |
종결 단계 - 연습 단계 | - 내담자 가족이 선택했던 목표에 대한 점검, 효과의 지속성 확인, 삶의 문제들에 압도당하면 언제든 위기 상황이 다시 올 수 있다는 점을 교육해야 한다. - 현재 나타나는 문제가 표면적으로 변화를 일으켰다 해도 잠재된 여러 가족심리적인 문제가 앞으로 계속 드러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어떤 단계에서 종결할 것인지 내담자와 상호 합의할 수 있어야 한다. |
치료 기법
구분 | 내용 |
합류 | - 치료사가 내담자 가족과 만나는 시점의 친화 단계로, 마음의 연결이 중요하다. - 치료사는 가족문제를 잘 인식하기 위해 주의를 집중하고, 가족의 문화, 가치, 사랑, 갈등, 상처 등과 같은 정서를 느끼고, 그 가족원의 일부가 되어 함께 문제를 풀어가는 자세와 태도를 가져야 한다. |
가족구조 확인 | - 다양한 치료도구를 통해 현재의 가족구조를 그려보거나 배치하게 하여, 가족의 하위체계들의 위치, 거리, 시선, 그리고 경계와 권력, 가족역할을 살펴봄으로써 가족역동을 추측할 수 있다. - 내담자 가족이 현재 증상의 정도를 인식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 내담자에게 가장 바람직한 가족을 구성하게 하여 희망을 발견하게 할 수 있다. |
내적 경험하기 | - 경험적 가족치료에서 사용하는 각종 기법들(원가족 가계도, 대처 방식, 심리 내적인 빙산 모델, 가족 조각 등)을 활용할 수 있다. |
실연 | - 치료사는 가족에게 설명 대신 실제로 재연해 보도록 함으로써 상호작용 유형을 직접 관찰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도운다. - 가족구조의 확인 단계에서 사용하거나 가족관계 패턴을 수정하는 데 사용된다. |
강도 높이기 | - 가족 안에서 이미 유형화되어 있는 교류를 불안정하게 만들기 위해 감정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도록 조작하는 기법이다. |
모방 | - 새로운 가족구조, 새로운 내적 경험들을 하려면 먼저 새로운 행동을 한 번 시도해보는 것이 좋으므로, 치료실에서 직접 경험할 수 있게 모방을 해보도록 한다. |
LIST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의 초기 과정 : 치료적 관계 형성 ] (0) | 2023.08.24 |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의 초기 과정 : 접수 상담 ] (0) | 2023.08.24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통합적 가족 치료 : 구조 · 경험적 가족 치료 ( 핵심 용어 ) ] (0) | 2023.08.21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통합적 가족 치료 : 구조 · 경험적 가족 치료 ( 기본 가정 ) (0) | 2023.08.20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통합적 가족 치료 : 구조 · 경험적 가족 치료 ( 인간과 가족에 대한 관점 ) (1) | 2023.08.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