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족 상당 및 가족 치료1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경험적 가족 치료 3 : 한국 사회에서의 유용성 ] 경험적 가족 치료 3 한국 사회에서의 유용성 권위주의 가족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한국인의 의사소통은 주로 비언어적이며, 자기감정이나 의사표시도 암시적이고 우회적인 경우가 많다. 특히 부모-자녀 관계에서의 의사소통은 수직적, 권위적이며 대화의 양도 충분하지 못하고 비난하는 내용도 많다. 따라서 일치적인 의사소통을 강조하는 사티어 모델은 한국인의 의사소통 방법과 태도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가부장적 사고가 지배적인 한국 문화는 가족규칙이 경직되고 비현실적이며 명령적이어서 이로 인한 가족의 역기능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경험적 가족치료 접근을 통해 합리적인 가족규칙을 만드는 작업은 가족규칙 때문에 생기는 부정적인 감정과 행동, 가족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한국사회에서는 정서를 표현하는 것보다 억.. 2023. 4. 1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