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요약148

한국의 가족 문화와 가족 문제 [현대 한국 가족 문제의 특성] 현대 한국 가족 문제의 특성 남성의 문화지체 현상 전통적으로 기득권을 가진 남성의 경우 -­ 남성우월 사상과 가부장적 가치관에서 벗어나지 못한 결과, 민주적이고 평등한 관계를 지향하는 아내와의 사이에 갈등이 발생한다.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 ­ - 가사분담과 역할공유를 기대하는 여성과, 역할 분리를 고수하는 남편 사이의 갈등, 이에 따른 무자녀 가족, 저출산 등의 문제들이 발생한다. 현대사회에 적합한 아버지 역할 준비의 부족 ­ - 자녀 양육과 지도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지 못하는 것이 아버지가 가족원에게서 고립되는 문제, 자녀 문제, 부부문제의 원인이 된다. 부모 자녀 간의 장기간 밀착관계 부모 자녀 사이의 갈등 원인 ­ - 부모가 자녀를 오랜 기간 맹목적으로 보호하고 간섭하며 교육에 열성적으로 하는 경우­.. 2022. 8. 14.
한국의 가족 문화와 가족 문제 [ 한국 가족문화의 특성 ] 한국 가족문화의 특성 유교의 영향으로 가부장적 가족주의가 지배적임 - 남계 중심의 혈연과 제사 중시, 아들 및 장남의 선호, 위계적 인간관계 성과 세대에 따른 역할 - 가족 내에서 남성이 여성에게, 부모가 자녀에게, 위 세대나 연장자가 아래 세대나 연하자에게 책임감과 자비심, 통제적, 지배적 역할이 요구되는 권위적 존재 - 여성과 자녀, 아래 세대나 연하자는 순종과 복종, 충성 강조 중심 가치 - 전통적으로 조화로운 인간관계, 효행, 가족 결속과 상부상조, 위계질서 기타 - 체면 의식, 감정의 억제 및 간접적 표현, 연고주의, 한(恨), 정(情)을 매개로 한 인간관계 등 2022. 8. 14.
한국 가족 치료의 발전 과정 [ 1970년대 초반, 1980년대 초반, 1980년대 후반 ~ 1990년대 ] 한국 가족치료의 발전과정 1970년대 초반 - 미국의 사티어의 [공동 가족치료(Conjoint family therapy)]라는 책자를 통해 소개되었고 이후 미 8군 병원의 정신과에서 부부 또는 가족을 대상으로 한 치료기법이 사용되었다. 1980년대 초반 - 대학원 과정에서 이론을 중심으로 가족치료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여 이화여대 대학원 사회산업 전공에 최초로 정규과목으로 개설된 이래 여러 대학교와 대학원의 가족학, 사회복지학, 상담전공에 정규과목으로 개설되었다. 1980년대 후반 ~ 1990년대 - 상담 실무자들의 가족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부부문제와 이혼, 아동, 청소년 문제, 가정폭력, 노인문제 등 가족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된 사회적 배경이 영향을 미쳤다. 2022. 8. 13.
서구 가족 치료의 발전 과정 [ 2000년대 ] 2000년대 지배적인 견해 - 통합적 관점의 영향으로 기계론과 유기체론, 체계론과 포스트모더니즘, 개인 치료와 가족치료의 통합이 필요하고 상황과 치료자의 선호에 따라 모두 유용하게 선택할 수 있다는 견해 방향 - 현재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지향은 개인 치료 영역도 인정하면서 체계론에 기초한 전통적 모델과 2차 가족치료라고 하는 혁신적 모델이 공존하는 방향 2022. 8.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