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발달 배경5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통합적 가족 치료 : 발달 배경 ] 통합적 가족 치료 발달 배경 통합적 가족치료란? 최근의 가족상담 및 치료 - 초기와 후기의 가족치료 이론 및 기법에 근거한 통합적 접근 방법으로 새롭게 전환되고 있다. 통합적 가족치료 - 가족치료 개입의 유용성과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목적에 맞도록 여러 이론들을 통합하여 새로운 가족치료 모델로서의 고유성과 전문성을 확보한 다차원적인 모델이다. 통합적 가족치료의 세 가지 유형 절충주의 모델 - 가족치료사가 상담을 할 때 다른 모델과 방법들을 혼합하여 언제든지 선회가 가능하도록 자유롭게 치료 기법들을 수용하는 방법 - 치료사가 자신의 임상적 기준과 중심을 갖고 있다는 전제하에 절충할 수 있어야 한다. 선택적 차용의 모델 - 가족치료사가 어떤 한 모델을 사용하면서도 보완적인 측면으로 다른 모델의 기법을 빌려와.. 2023. 7. 9.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이야기 가족 치료 1 : 발달 배경 ] 이야기 가족 치료 1 발달 배경 치료자와 내담가족원의 관계유형 이야기 치료는 1990년 출판된 화이트와 엡스턴의 [이야기 방법을 통한 치료적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이들을 비롯한 몽크(G. Monk), 프리드먼(J. Freedman), 콤(G. Comb), 디커슨(V. Dickerson), 짐머만(J. Zimmerman) 등이 오스트레일리아 덜위치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접근법이다. 이야기 치료는 포스트모더니즘과 사회구성주의에 토대를 두고 있다. - 사람들이 행동하는 방식보다는 그들이 의미를 구성하고 해석하는 방식에 관심을 갖고, 사람이 자신에 대해 말하고 설명하는 것들이 자신의 경험을 구성하고 행동을 결정한다고 믿는다. 개인의 증상을 가족관계 맥락과 연관 지으며 반복적 패턴을 중시하는 ‘베이슨의 체계이론.. 2023. 5. 29.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해결 중심적 가족 치료 1 : 발달 배경 (이론적 배경, 발달 배경 ) ] 해결 중심적 가족 치료 1 발달 배경 이론적 배경 1980년대에 시작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모더니즘의 한계를 탈피하려는 노력이 가족치료 분야에서 시작되면서, 기존의 형식과 틀, 절대성과 객관성의 존재를 부인하고, 개인이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실재라는 관점이 영향력을 가진다. 구성주의와 사회구성주의가 출현하여 인간이 경험하는 실재는 주관적 구성물이고, 사회적 ·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된다는 관점들이 가족치료에 영향을 미친다.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가족치료의 접근 방법에 다양성을 보이게 된다. - 해결중심적 가족치료는 사회조직에 대한 보편성이나 규범에서 벗어나려는 2차 혁신적 가족치료모델의 대표적인 것이다. - 혁신적 모델에서는 개인의 가족 경험 과정과, 경험에 대한 의미 부여, 그리고 경험 .. 2023. 4. 26.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전략적 가족 치료 1 : 발달 배경 ] 전략적 가족 치료 1 발달 배경 전략적 가족치료는 증상을 제거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구체적인 치료 전략을 세워, 역설적 방법으로 접근하는 에릭슨의 영향을 받은 접근 모델을 통칭한다. 기본적으로 치료자가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고안해내는데 주안점을 둔다. - 즉 인간의 행동이 왜 일어났는지에는 관심이 없으며, 문제행동을 변화시키는 해결 방법을 기술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목표 설정 시에는 반드시 가족의 호소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포함시킨다. 전략적 가족치료를 추구하는 분류 - 가장 처음 전략적 가족치료를 시도한 집단인 미국 팔로알토의 MRI 상호작용 모델 - 초기에는 MRI와 함께 했으나 이후 마다네스(C. Madanes)와 독자적 활동을 한 헤일리(Haley) - 밀라노에서 파라졸리를 중심으로 .. 2023. 4. 22.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