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적 가족 치료 2
치료 과정
경험주의 가족치료의 접근 방법
성공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먼저 가족 구성원들이 각자의 진정한 정서와 접촉하는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경험주의 가족치료사들은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작업을 한다.
- 가족 구성원으로 하여금 방어를 감소시키고 경험의 깊은 수준을 드러나게 하여 정직한 감정을 드러내게 함으로써, 가족 간의 진솔한 결속력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경험적 가족치료는 합리적 사고보다 경험적 우수성을 강조한다.
- 치료자는 내담자가 자신들의 느낌, 감정, 공상 그리고 내면에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각 개인은 모두 독특한 존재라고 믿기 때문에 각 개인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도 일반적인 이론에 근거하여 획일적인 접근을 하기보다는 치료과정을 통하여 각 개인이 자신의 잠재력을 깨닫고 이를 개발하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휘태커의 치료과정
가족은 교육이 아닌 경험을 통해 변화하며, 특히 비언어적이고 상징적인 경험이 중요하다
치료과정에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기보다는 그 자리에서 듣고 관찰하고 자신의 경험을 이용하여 가족의 상처를 치료한다.
치료자가 자기감정을 드러내어 그들의 경험을 함께 나눔으로써 가족에 합류하는 것을 선호한다.
치료자는 가족이 깨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보다 강력한 개입을 하여 가족이 강한 정서적 경험을 체험하도록 해야 한다고 본다.
사티어의 치료과정(Satir et al., 1991 ; 정문자, 2007)
적절한 도움 요청 단계
-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단계로서, 가족이 현재의 괴로움과 고통, 불편함, 증상을 통하여 불균형 상태를 지각하여 이를 변화시키려고 도움과 정보를 구한다.
통찰 및 저항 단계
- 가족체계에 치료자가 개입하여 문제를 탐색하고 긍정적 목표가 설정되면서 현 상태의 균형이 깨지고 가족체계는 새로운 요인에 대해 반응하며 통찰과 새로운 조정이 이루어진다.
감정 직면 및 혼란 단계
- 새로운 지각이 생기면서 과거의 역기능 상태에서 새로운 기능 상태로 바꿔지는 과정에서 혼돈이 발생하게 된다.
- 낮은 자아존중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이루어지며, 과거의 상처나 분노, 두려움을 직면하는 일이 중요하다.
새로운 시각, 새로운 방법의 통합 단계
- 새로운 학습에 의한 통합과정이 이루어진다.
- 변화에 대한 의식이 있지만 아직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과거의 것에서 벗어나 새로운 방식을 선택해야 하는 단계
새로운 현상 및 방법의 생활화 연습 단계
- 변화가 자신과 조화를 이루고 자리를 잡아 새로운 자신과 일부가 되는 단계
- 계속 변화하고자 노력하도록 새로운 현상을 확인하고 경험하며 재통합할 수 있는 연습 과정이 필요하다.
새로운 현상의 정착 단계
- 변화가 정착되어 편안함과 안정감, 새로운 경험을 느끼는 단계
- 새로운 상호작용과 기능적인 대처 방식이 정착되어 높은 자아존중감과 일치형 의사소통 유형이 개발되고 정착된다.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경험적 가족 치료 3 : 치료 기법(원가족 삼인군 치료) ] (0) | 2023.04.11 |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경험적 가족 치료 3 : 치료 기법 ] (0) | 2023.02.27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경험적 가족 치료 2 : 치료자의 역할 ] (0) | 2023.01.03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경험적 가족 치료 2 : 치료 목표 ] (0) | 2023.01.03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경험적 가족 치료 1 : 사티어의 주요 개념 ] (0) | 2022.1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