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54

전통적 가족치료에 영향을 준 이론 [정신 분석의 출발, 집단 치료의 영향 ] 전통적 가족치료에 영향을 준 이론 정신분석에서의 출발 - 체계론적 이론 모델 이전의 초기 가족 치료자의 대부분은 정신분석 훈련을 받았다. " (리즈, 미누친, 애커만, 보웬, 휘태커 등) = [ * 이들은 가족을 치료할 때, 개인의 정신역동 과정을 이해하는 것만으로는 치료가 어렵다고 생각하여 자신들이 가진 심층심리학의 이론에 체계이론을 접목시키려고 노력했다. ] " - 애커만(N. W. Ackerman)은 ‘연쇄고리의 병리(Interlocking pathology)’라는 개념을 제안하여 가족 성원 각각의 정신병리가 치료자가 직면하고 있는 가족체계를 만들었다고 본다. - 보웬(M. Bowen)의 ‘분화되지 않은 자아 집합체’도 개인 대상의 정신 병리 연구에서 생겨난 개념을 가족에게 적용한 것이다. - 사티.. 2022. 8. 15.
전통적 가족 치료 전통적 가족 치료 - 전통적인 사회과학의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기존의 전제를 중심으로 발전시킨 모델로 1차 가족 치료( First-order cybernetics )이다. - 사회적 맥락 내에서 수용되는 표준적 기준과 준거를 토대로 행동을 평가하고 변화시키려고 한다. - 가족 치료자는 가족에 대한 상당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의 역할을 한다. ( 예 : 가족 문제는 치료자에 의해 정의되고 그 문제 정의는 가족 치료자가 가지고 있는 이론이나 신념, 경험에 의해 좌우된다. ) - 전통적 가족 치료에는 정신역동적 가족 치료, 보웬 가족치료, 경험적 가족 치료, 구조적 가족치료, 인지행동적 가족 치료, 전략적 가족 치료가 포함된다. 2022. 8. 14.
한국의 가족 문화와 가족 문제 [현대 한국 가족 문제의 특성] 현대 한국 가족 문제의 특성 남성의 문화지체 현상 전통적으로 기득권을 가진 남성의 경우 -­ 남성우월 사상과 가부장적 가치관에서 벗어나지 못한 결과, 민주적이고 평등한 관계를 지향하는 아내와의 사이에 갈등이 발생한다.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 ­ - 가사분담과 역할공유를 기대하는 여성과, 역할 분리를 고수하는 남편 사이의 갈등, 이에 따른 무자녀 가족, 저출산 등의 문제들이 발생한다. 현대사회에 적합한 아버지 역할 준비의 부족 ­ - 자녀 양육과 지도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지 못하는 것이 아버지가 가족원에게서 고립되는 문제, 자녀 문제, 부부문제의 원인이 된다. 부모 자녀 간의 장기간 밀착관계 부모 자녀 사이의 갈등 원인 ­ - 부모가 자녀를 오랜 기간 맹목적으로 보호하고 간섭하며 교육에 열성적으로 하는 경우­.. 2022. 8. 14.
한국의 가족 문화와 가족 문제 [ 한국 가족문화의 특성 ] 한국 가족문화의 특성 유교의 영향으로 가부장적 가족주의가 지배적임 - 남계 중심의 혈연과 제사 중시, 아들 및 장남의 선호, 위계적 인간관계 성과 세대에 따른 역할 - 가족 내에서 남성이 여성에게, 부모가 자녀에게, 위 세대나 연장자가 아래 세대나 연하자에게 책임감과 자비심, 통제적, 지배적 역할이 요구되는 권위적 존재 - 여성과 자녀, 아래 세대나 연하자는 순종과 복종, 충성 강조 중심 가치 - 전통적으로 조화로운 인간관계, 효행, 가족 결속과 상부상조, 위계질서 기타 - 체면 의식, 감정의 억제 및 간접적 표현, 연고주의, 한(恨), 정(情)을 매개로 한 인간관계 등 2022. 8.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