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의 중기 과정5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의 중기 과정 : 상담 과정의 실제적 문제 ( 예상하지 못한 문제 처리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의 중기 과정 상담 과정의 실제적 문제 예상하지 못한 문제 처리 가족 성원이 제멋대로 상담 장소를 떠날 때 - 가족 성원 중 한 명이 감정을 강하게 표현하던 중 갑자기 상담 장소를 떠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는 가족의 상호작용을 관찰하는 중요한 새로운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예상과는 다른 일에 대하여 가족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와 떠나고 싶어 하는 가족을 어떻게 못 가게 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 치료자는 편안한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지에 대해 남아있는 가족원들과 의논할 수 있다. - 떠난 사람이 다시 상담에 돌아오든 안 오든 간에, 가족 전체로 보면 어떤 행동을 보이고 어떤 식의 반응이 일어나는지의 과정을 파악하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 치료 .. 2023. 8. 28.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의 중기 과정 : 상담 과정의 실제적 문제 ( 상담에서 다루어야 할 특별한 가족 문제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의 중기 과정 상담 과정의 실제적 문제 상담에서 다루어야 할 특별한 가족 문제 가족 슬픔에 대한 처리 - 언제 상실 경험을 했는지 시기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며, 지난 1년간 경험한 중요한 상실이나 실망을 주로 파악하게 된다. - 상실에 대한 반복적이며 직접적인 질문을 통해, 상실에 대해 집착하고 있는 감정을 표현하고 노출시켜 정서 표현이나 통찰에 있어 가족의 역기능적 규칙을 변화시킨다. - 감정이입을 사용하여 상실의 집착될 만한 민감한 주제를 어떻게 이야기해 나가는가를 가족에게 보여준다. - 이는 죽음에 대한 이야기에 덜 민감하도록 하고 아무런 동요 없이 직면할 수도 있다는 것을 경험하게 해줌 - 가족에게 상실을 공유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가족들이 서로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 2023. 8. 28.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의 중기 과정 : 상담 과정의 실제적 문제 ( 행동 변화에 도움이 되는 기법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의 중기 과정 상담 과정의 실제적 문제 행동 변화에 도움이 되는 기법 칭찬(보상) - 치료자는 가족에게 심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사람이므로, 가족치료자의 칭찬은 가족을 변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 칭찬은 가족의 자존감을 높이고, 나아가 변화하고자 하는 동기를 자극하게 된다. 경험적 기법의 사용 - 가족조각기법, 역할극 같은 경험적 접근을 예전 행동에서 새롭게 바뀐 행동, 또는 그 행동의 결과를 경험해 보기 위해 치료중기에 사용되기도 한다. - 주의할 점 ­ - 상담 초기에 가족에게 미리 알리는 것과 가족에게 역할극에 참여할지 물어보기보다는 가족이 자연스럽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 수행하게 되는 역할을 자세히 설명해줌으로써 가족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 2023. 8. 28.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의 중기 과정 : 상담 과정의 실제적 문제 ( 상담 과정에서 의사소통 문제 ) 가족 상담 및 가족 치료의 중기 과정 상담 과정의 실제적 문제 상담 과정에서 의사소통 문제 상담 과정에서 치료자와 가족 사이에 일어나는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잡담을 하는 경우 - 치료자가 가족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친숙해지기 위해 일상적인 이야기나 잡담을 할 수 있지만, 잡담을 지나치게 사용할 경우에는 오히려 치료에 방해를 초래할 수 있다. - 가족들이 매 회기마다 잡담을 지나치게 많이 한다면, 잡담하는 동안에는 치료자가 서 있다가 상담이 시작되는 것을 알리기 위하여 자리에 앉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모든 가족 성원이 동시에 말하는 경우 - 치료자는 가족 각자의 의견을 존중하면서도 체계적으로 듣기 위해 나름대로의 방안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치료자가 특정 가족 성원을 .. 2023. 8. 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