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54

성공을 부르는 "여러 습관 모음 " 모음 꿈을 이루는 7가지 습관 “나는 할 수 있다”라고 항상 다짐한다. 목표를 항상 구체적인 문장으로 적는다. 항상 긍정적으로 말한다. 대가를 지불하겠다는 각오를 한다. 낙심하거나 포기하지 않는다. 모든 일에 감사한다. 꿈을 크게 가진다. 말 잘하는 6가지 습관 다른 사람의 말을 주의 깊게 듣는다. 말하기 전에 말한 결과를 미리 예측해 본다. 말하기 전 두 번 생각한다. 말하는 내용에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 화제를 풍부히 하기 위해 꾸준히 학습한다. 여유 있는 태도를 말한다. 아침 식사를 꼭 해야 하는 7가지 이유 두뇌 활동에 필요한 포도당을 공급한다. 음식을 씹는 운동을 통해 잠자고 있는 뇌를 깨운다. 위 운동이 시작됨으로써 신진대사가 활발해진다. 오랜 공복에 의한 위 기능 저하와 소화기 질환 발생을 .. 2022. 7. 10.
공무원 한국사 사료집 " 고대 문화의 일본 전파 " 핵심 [공무원 한국사, 수능 한국사, 한국사 검정 시험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한능검] 고구려 수산리 고분 벽화 일본 나라 현의 아스카 역사공원 내에 위치한 다카마쓰 고분의 발굴 조사 당시 채색 벽화가 발견되었다. 벽화는 석실의 동벽, 서벽, 북벽과 천정의 4면에 있었으며, 해와 달.청룡.백화와 별자리 등이 그려져 있다, 특히 서쪽 벽에서 발견된 여성의 채색화는 주름 잡힌 치마 등 보고식과 두발의 모습이 한반도 문화의 영향을 잘 보여 주고 있다. 백제 노리사치계 - 성왕 30년, 달솔 노리사치계를 왜에 보내 석가여래상과 불경을 전하였다. 통일 신라 의상의 제자의 화엄 사상 전파 - 화엄종에서는 " 하나가 일체요, 일체가 곹 하나 "여서 우주 만물이 서로 융퉁하고 화해하며 무한하고 끝없는 조화를 이룬다고 한다. 신라의 승려 심상은 일본에 건너가 화엄 교리를 강의하고 일본 승려 양변에게 법을 .. 2022. 7. 6.
공무원 한국사 사료집 " 발해 문화( 정혜 공주, 정효 공주, 주작 대로 ) " 핵심 [공무원 한국사, 수능 한국사, 한국사 검정 시험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한능검] 발해 문화 정혜 공주 - 1949년 8월, 중국 길림성 돈화현 남쪽 약 5km의 거리에 있는 육정산의 고분군에서 발해 제3대 문왕의 둘째 딸인 정혜 공주의 무덤이 발굴되었다. 이 무덤을 조사한 바에 의하면 고구려의 전통을 계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정효 공주 - 무릇 오래 전에 읽었던 『상서』를 돌이켜 보건대, 요 임금은 …『좌전』을 널리 상세히 보건대, 주나라 천자가 딸을 제나라에 시집보낼 때 …어머니로서 갖춘 규범이 아름답고 아름다우면 선인들이 쌓은 은혜가 어찌 무궁하게 전해지지 않으리오. 공주는 우리 대흥보력효감금륜성법대왕(大興寶曆孝感金輪聖法大王)의 넷째 딸이다.… 아아, 공주는 대흥(大興) 56년(792) 여름 6월 9일 임진일(壬辰日)에 궁 밖에서 사망하니, 나이는 36세였다. 이에 시호를 정효.. 2022. 7. 6.
공무원 한국사 사료집 " 선종, 풍수지리 " 핵심 [공무원 한국사, 수능 한국사, 한국사 검정 시험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한능검] 선종 - 처음에 도의대사는 서당(지장대사)에게 가르침을 받고, 후에 우리나라에 돌아와 선의 이치를 설하였다. 당시 사람들이 경의 가르침과 관법을 익혀 정신을 보존하는 법만 숭상하여, 무위의 선종에 모이지 않고 이를 허탄한 것으로 여겼다. 선종의 사상 - 부처의 가르침은 말이나 문자로 표현될 수 없다. ( 불립문자 ) - 스스로 본래의 마음을 발견하려고 할 때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 ( 견성오도 ) - 부처의 진정한 가르침은 마음을 통해 전해진다. ( 교외별전, 이심전심 ) - 온갖 편견으로부터 벗어나 청정한 마음으로 돌아가라 풍수지리설 - 도선이 말하기를 " 이 땅의 맥이 백두산으로부터 수와 목의 줄기가 되어 내려와서 명당이 되었으니 마땅히 큰 숫자를 따라서 집을 6X6의 36칸으로 지으면 하늘과 땅의.. 2022. 7. 6.
728x90
반응형